2013년 8월 18일
원행이라 아침 6시 반까지 팔공신문 사옥 앞에 모이라는 통보를 받고 시간에 맞춰 도착하니 이미 많은 사람들이 승차하고 있었다.
7시 경에 출발한 산행단은 통상 휴게소에 들어가 국물과 함께 먹던 아침 식사를 오늘은 김밥으로 대체하고 쉼 없이 달렸다.
등산로 입구에서 기념사진을 찍고는 산행팀과 도랑팀 두팀으로 나뉘었다. 산행팀은 바로 산행을 시작하고 도랑팀은 내소사 탐방과 계곡 만행을 나섰다. 나는 산행팀에 합류했다.
내소산은 변산반도 해변 가에 솟은 작은 산이었지만 그것도 오르니 숨 가쁘고 힘 들었다. 잿마루에서 휴식을 취하고는 산을 넘어 내려가니 직소폭포가 나타났다. 말이 폭포지 물이 없어 그냘 돌 낭떠러지 였다. 제대로 볼려면 비오는 날에 와야 할 것 같다.
직소폭포 전망대에 서니 비가 오면 직소폭포도 장관이겠고 전망대 아래 있는 두 세단의 연폭도 볼 만 하겠는데 아쉽게도 오늘은 그냥 건폭만 볼 수 밖에 없었다. 전망대 근처 공터에 둘러앉아 싸온 도시락과 반찬들로 풍성한 식단을 마련하고 다함께 산중 오찬을 즐겼다.
전망대에서 조금 내려 오자 맑은 물이 가득한 산중호수가 나타났다. 이 호수가 산중호수일지 산정호수일지는 내려 가봐야 알겠다고 했는 데 호수를 지나 조금 내려오자 미륵전이 있는 절이 나타나고 곧 버스 정류장에 도달했다. 그러니 산정호수가 아니라 산중호수였다.
절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도랑팀과 합류하여 새만금 방조제로 달렸다. 중국 이화원을 구경하며 미친 사람이 새로운 역사를 만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그 생각이 확 살아나는 현장이 바로 새만금 방조제다. 이 바다에 방조제를 쌓을 생각을 미친 사람 아니고 어찌 할 수 있었으랴. 새만금 방조제를 쌓은 우리는 모두가 미친 사람들이었다. 서태후의 이화원 조성보다 수십, 수백배의 엄청난 새로운 역사를 우리 세대에 우리 대한민국이 만들었다. 어떤 미친 사람이 설두를 했든 간에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 이 엄청난 역사를 성취했다.
새만금 방조제에서 보듯이 해방 이후 지난 60년 간 우리나라가 이룩한 성취는 실로 엄청난 것이었다. 대한민국의 이 위대한 성취, 이 위대한 발전의 역사를 아직도 부정하고 폄하하는 사람들이 있으니 참 안타깝다.
새만금 방조제 중간 지점에 위치한 섬에 올라 호수와 바다를 함께 구경하면서 시원한 바람으로 땀을 식히고 차를 돌려 채석강으로 향했다.
전총무와 산행대장이 물 빠질 시간까지 계산하여 일정을 치밀하게 준비했기에 채석강에 도착한 우리는 채석강 아래까지 들어가 가까이서 그 절경을 두루 즐길 수 있었다. 몇 년 전 가족과 함께 이곳에 왔다가 물때문에 채석강을 먼 빛으로만 보고 가야했던 경험이 있기에 산행리더들의 치밀한 준비와 수고에 더 큰 감사와 고마움을 느낄 수 있었다.
채석강을 나와 '곰소명가집조선젓갈(063-581-7866)'에서 하산주를 했다. 상주가 외가라고 하는 김태곤 사장이 우리 산행팀의 기분을 맞춰주는 바람에 더욱 기분좋게 즐길 수 있었다. 조동호 홍보위원장의 리드로 분위기가 고조되고 논두렁 반주에 맞춘 우리팀 여가수의 열창, 김사장이 기분으로 낸 곰소 특미 동동주, 냉장고 활용 더위 식히기로 즐겁고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8월 생일회원 축하 시간에는 안덕자 고문님과 나 두 사람이 전체 회원들의 축가를 듣고 케익을 자르는 시간을 가졌다.
여러 사람들이 기분이 좋아 젓갈을 많이 샀다. 나는 돌아가신 장인이 좋아하시던 음식이라 안사람에게 선물할 생각으로 창란젓깔과 명란을 샀다.
'가족여행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장법사 전설어린 대안탑 (0) | 2014.03.06 |
---|---|
섬서역사박물관과 회족거리 (0) | 2014.03.06 |
탄금대 (0) | 2013.05.06 |
와룡산의 연산홍 군락지 (0) | 2013.04.29 |
시드니의 야경 탐승-하버 브리지, 오페라하우스(2013. 1. 8.) (0) | 2013.02.01 |